728x90
미국 정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여러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해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2025년 4월 8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표와 관련된 중국의 맞대응 등의 혼란 속에서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1. 2025년 4월 8일 미국 주요 주가지수의 종가와 변동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날 오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400포인트 이상 상승하며 낙관적인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과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중국 및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한 긍정적인 발언을 한 데 따른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오후 들어 백악관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50%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시장은 급격히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이에 따라 다우지수는 320포인트 하락한 37,645에 마감하였으며, S&P 500 지수는 1.6% 하락한 4,983, 나스닥 지수는 2.2% 하락한 15,268을 기록했습니다.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 37,645.59 | -0.84% |
S&P 500 지수 | 4,982.77 | -1.6% |
나스닥 종합지수 | 15,267.91 | -2.1 |
2. 주요 산업별 관세 부과 현황
1.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
- 관세 내용: 2025년 3월 26일부터 미국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승용차와 경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주요 자동차 부품(엔진, 변속기 등)에도 동일한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2.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
- 관세 내용: 2025년 3월 12일부터 모든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특히, 4월 2일부터는 빈 알루미늄 캔과 캔 맥주도 이 관세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3. 전자제품 산업
- 관세 내용: 중국, 베트남, 대만, 일본 등 주요 전자제품 생산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노트북,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대해 10%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4. 청정 에너지 산업
- 관세 내용: 리튬 이온 배터리, 태양광 패널, 전기차 부품 등 청정 에너지 관련 제품에 대해 최대 80% 이상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5. 건설 자재 산업
- 관세 내용: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 수입되는 건설 자재에 25%의 관세가 부과되어, 건축 자재 비용 상승과 주택 가격 인상 요인이 되었습니다.
6. 소비재 및 의류 산업
- 관세 내용: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의류, 가구, 장난감 등에 20%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7. 반도체 산업
- 관세 내용: 대만과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반도체 칩에 25%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8. 제약 산업
- 관세 내용: 수입 의약품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이러한 관세 조치는 전 세계 각 산업 분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들은 생산 비용 증가와 공급망 재조정 등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728x90